마티아스 진델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티아스 진델라는 오스트리아 축구 선수로, 1903년 모라비아에서 태어나 빈에서 성장했다. 그는 FK 아우스트리아 빈에서 활약하며 여러 차례 리그 및 컵 우승을 이끌었고,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의 핵심 선수로 1934년 FIFA 월드컵 4강 진출을 견인했다. 1930년대 초반 '원더팀'의 일원이었으며, 1939년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자살, 타살 등 다양한 추측을 낳았으며, '종이 인간'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오스트리아 역사상 최고의 축구 선수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K 아우스트리아 빈의 축구 감독 - 크리스토프 다움
크리스토프 다움은 독일의 전 축구 선수이자 여러 클럽과 국가대표팀을 지휘하며 리그 우승과 컵 대회 우승 등 성공적인 감독 경력을 쌓았으나 코카인 스캔들과 폐암으로 활동에 제약을 받은 인물이다. - FK 아우스트리아 빈의 축구 감독 - 호르스트 흐루베슈
호르스트 흐루베슈는 독일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함부르크 SV에서의 분데스리가 및 챔피언스리그 우승, 서독 국가대표팀에서의 UEFA 유로 1980 우승과 월드컵 준우승, 그리고 독일 청소년 대표팀 감독으로서의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 및 올림픽 은메달 획득 등 선수와 감독 모두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 질식사한 사람 - 조지 플로이드
조지 플로이드는 1973년 출생하여 2020년 미니애폴리스에서 백인 경찰관의 과잉 진압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은 전 세계적인 시위를 촉발하여 경찰의 과도한 무력 사용과 인종차별에 대한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 질식사한 사람 - 데이비드 캐러딘
데이비드 캐러딘은 1936년 배우 존 캐러딘의 아들로 태어나 TV 시리즈 《쿵푸》의 콰이 창 케인 역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영화 《킬 빌》 시리즈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했고 2009년 태국에서 사망했다. - 오스트리아의 축구 감독 - 카를 라판
카를 라판은 오스트리아 출신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에는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으로 활약하고, 감독으로서 스위스 클럽과 국가대표팀을 맡아 스위스 볼트 전술을 개발했으며, UEFA 인터토토컵 제정에도 관여했다. - 오스트리아의 축구 감독 - 발터 샤흐너
오스트리아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감독인 발터 샤흐너는 국가대표팀으로 월드컵에 참가했으며, 감독으로서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와 ÖFB 컵 우승을 달성했다.
마티아스 진델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마테이 신델라르 |
출생일 | 1903년 2월 10일 |
출생지 | 코즐로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모라비아 |
사망일 | 1939년 1월 23일 |
사망지 | 빈, 나치 독일 |
신장 | 1.75m |
포지션 | 중앙 공격수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1918–1922: 헤르타 빈 |
클럽 | 1921–1924: 헤르타 빈 (23경기 4골) 1924–1939: 아우스트리아 빈 (312경기 240골) |
총 출장 및 득점 | 335경기 244골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오스트리아 |
국가대표 출장 및 득점 | 43경기 26골 |
수상 | |
중앙 유럽 국제 컵 | 준우승: 1927–30년 중앙 유럽 국제 컵 우승: 1931–32년 중앙 유럽 국제 컵 준우승: 1933–35년 중앙 유럽 국제 컵 |
2. 유년 시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모라비아 지방 코즐로프에서 가난한 유대인 대장장이 가족 사이에서 태어났다.[28][29] 체코인 혈통을 가졌기 때문에, 원래 이름은 '''마테이 쉰델라르'''(Matěj Šindelář)였다. 1905년 가족과 함께 빈으로 이주하여 파보리텐에 정착했고, 어린 시절 거리에서 축구를 시작했다.
1918년 15세의 나이에 기계공 견습생으로 일하면서 ASV 헤르타 빈 유스에 입단했다.[15] 젊은 시절부터 무릎에 지병을 앓아 반월판 수술을 받았기 때문에, 항상 오른쪽 무릎에 서포터를 착용하고 경기에 출전했다. 이 점이 그가 육체적 접촉을 피하는 플레이 스타일을 확립해 가는 한 요인으로 보인다.[15]
3. 클럽 경력
진델라는 헤르타 빈에서 빠르게 입지를 다졌고, 특히 빠른 발을 이용하여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첫 골을 기록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1923년 5월, 진델라가 심각한 무릎 부상을 입어 장기간 출전할 수 없게 되면서 선수와 클럽 모두에게 불운이 닥쳤다. 동시에 헤르타는 심각한 경제 위기를 겪었고, 진델라를 포함한 몇몇 팀 동료들이 해고되었다.[4]클럽 시즌 리그 컵 미트로파컵 합계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출장 득점 ASV Hertha Wiende 1921–22 8 0 0 0 0 0 8 0 1922–23 17 3 1 0 0 0 18 3 1923–24 8 0 1 0 0 0 9 0
1924년 FK 오스트리아 빈(1924-26은 빈 AS)으로 이적하였다.[15]
3. 1. FK 아우스트리아 빈
15살 때 진델라는 ASV 헤르타 베를린에 들어갔다. 거기서 1924년까지 뛰다가 당시엔 '비너 아마추어 SV'였던 FK 아우스트리아 빈으로 이적했다. 여기서 그는 팀이 오스트리아 컵에서 1925년, 1926년, 1933년, 1935년, 1936년에 우승하고, 1926년 리그 우승, 미트로파컵에서 1933년과 1936년에 우승하는 것을 이끌었다.[1]
자유 계약 선수 신분이었지만 여전히 부상 중이던 진델라는 SV 아마토어의 구단 의사와 상담했고, 그는 반월판 수술을 제안했다. 당시 그러한 수술은 그의 선수 경력을 끝낼 수도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위험한 수술로 여겨졌다. 진델라는 그러한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여 수술을 받았고, 성공적으로 회복한 후 1924년 당시 오스트리아 리그와 컵 챔피언이었던 SV 아마토어와 계약했다.[4] 1926년 SV 아마토어는 프로 구단으로 전환하여 현재의 FK 아우스트리아 빈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다.[4]
그가 오스트리아 빈에서 활약한 시기는 구단 역사상 전쟁 이전 가장 성공적인 시기 중 하나와 일치한다. 그는 11년 동안 팀이 오스트리아 컵에서 5번 (1925년, 1926년, 1933년, 1935년, 1936년) 우승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1926년에는 1. 리그 타이틀을, 1933년과 1936년에는 각각 미트로파 컵에서 두 번 우승했다.[5] 헤르타 빈에서의 시절과 마찬가지로 진델라는 중앙 공격수였으며, 그의 기술, 볼 컨트롤 능력, 골을 향한 시야를 활용하여 신체적 불리함을 극복했다. 그는 또한 경기장에서 훌륭한 리더로 여겨졌다.[5]
오스트리아 빈에서 총 703경기에 출전하여 600골을 기록했으며, 2001년에는 구단의 세기의 팀에 선정되었다.[6]
4. 국가 대표 경력
진델라는 1926년부터 1937년까지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에서 43경기에 출전하여 26골을 기록했다.[8] 1926년 9월 28일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데뷔전에서 골을 넣는 등, 처음 세 경기에서 4골을 기록하며 후고 마이슬 감독이 이끌던 오스트리아 원더팀의 핵심 선수가 되었다. 그러나 마이슬 감독과의 불화로 4년간 국가대표팀에서 제외되기도 했다.[9]
1931년, 마이슬 감독은 여론에 굴복하여 진델라를 국가대표팀에 복귀시켰다. 진델라의 복귀와 함께 '원더팀'은 1931-32년 중앙 유럽 국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진델라는 이 대회에서 4골을 기록했다.[8] 이후 1934년 FIFA 월드컵 4강 진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마티아스 진델라의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경기 출전 기록 및 득점 기록[17][18][19][20] | ||||||
---|---|---|---|---|---|---|
출전 횟수 | 날짜 | 개최지 | 경기 종류 | 결과 | 상대팀 | 득점 |
1 | 1926년 9월 28일 | 프라하 | 친선 경기 | 2–1 | 체코슬로바키아 | 1 |
2 | 1926년 10월 10일 | 빈 | 친선 경기 | 7–1 | 스위스 | 2 |
3 | 1926년 11월 7일 | 빈 | 친선 경기 | 3–1 | 스웨덴 | 1 |
4 | 1927년 3월 20일 | 빈 | 친선 경기 | 1–2 | 체코슬로바키아 | 0 |
5 | 1927년 4월 10일 | 빈 | 친선 경기 | 6–0 | 헝가리 | 0 [21] |
6 | 1928년 5월 6일 | 빈 | 친선 경기 | 3–0 | 유고슬라비아 | 0 [22] |
7 | 1928년 10월 28일 | 빈 | 중앙 유럽 국제 컵 | 2–0 | 스위스 | 0 |
8 | 1930년 3월 23일 | 프라하 | 친선 경기 | 2–2 | 체코슬로바키아 | 0 |
9 | 1931년 5월 16일 | 빈 | 친선 경기 | 5–0 | 스코틀랜드 | 1 |
10 | 1931년 5월 24일 | 베를린 | 친선 경기 | 6–0 | 독일 | 0 |
11 | 1931년 9월 14일 | 빈 | 친선 경기 | 5-0 | 독일 | 3 |
12 | 1931년 10월 4일 | 부다페스트 | 중앙 유럽 국제 컵 | 2–2 | 헝가리 | 0 |
13 | 1931년 11월 29일 | 바젤 | 중앙 유럽 국제 컵 | 8–1 | 스위스 | 1 |
14 | 1932년 3월 20일 | 빈 | 중앙 유럽 국제 컵 | 2–1 | 이탈리아 | 2 |
15 | 1932년 4월 24일 | 빈 | 친선 경기 | 8–2 | 헝가리 | 3 [23] |
16 | 1932년 5월 22일 | 프라하 | 중앙 유럽 국제 컵 | 1–1 | 체코슬로바키아 | 1 |
17 | 1932년 7월 17일 | 스톡홀름 | 친선 경기 | 4–3 | 스웨덴 | 1 |
18 | 1932년 10월 2일 | 부다페스트 | 친선 경기 | 3–2 | 헝가리 | 0 |
19 | 1932년 10월 23일 | 빈 | 중앙 유럽 국제 컵 | 3–1 | 스위스 | 0 |
20 | 1932년 12월 7일 | 런던 | 친선 경기 | 3–4 | 잉글랜드 | 1 |
21 | 1933년 2월 12일 | 파리 | 친선 경기 | 4–0 | 프랑스 | 1 |
22 | 1933년 4월 9일 | 빈 | 친선 경기 | 1–2 | 체코슬로바키아 | 0 |
23 | 1933년 4월 30일 | 부다페스트 | 친선 경기 | 1–1 | 헝가리 | 0 |
24 | 1933년 6월 11일 | 빈 | 친선 경기 | 4–1 | 벨기에 | 1 |
25 | 1933년 9월 17일 | 프라하 | 친선 경기 | 3–3 | 체코슬로바키아 | 2 |
26 | 1933년 10월 1일 | 빈 | 친선 경기 | 2–2 | 헝가리 | 0 |
27 | 1933년 11월 29일 | 글래스고 | 친선 경기 | 2–2 | 스코틀랜드 | 0 |
28 | 1933년 12월 10일 | 암스테르담 | 친선 경기 | 1–0 | 네덜란드 | 0 |
29 | 1934년 4월 15일 | 빈 | 친선 경기 | 5–2 | 헝가리 | 0 |
30 | 1934년 4월 25일 | 빈 | 1934년 FIFA 월드컵 예선 | 6–1 | 불가리아 | 1 |
31 | 1934년 5월 27일 | 토리노 | 1934년 FIFA 월드컵 | 3–2 | 프랑스 | 1 |
32 | 1934년 5월 31일 | 볼로냐 | 1934년 FIFA 월드컵 | 2–1 | 헝가리 | 0 |
33 | 1934년 6월 3일 | 밀라노 | 1934년 FIFA 월드컵 | 0–1 | 이탈리아 | 0 |
34 | 1934년 9월 23일 | 빈 | 중앙 유럽 국제 컵 | 2–2 | 체코슬로바키아 | 0 |
35 | 1934년 10월 7일 | 부다페스트 | 중앙 유럽 국제 컵 | 1–3 | 헝가리 | 0 |
36 | 1935년 3월 24일 | 빈 | 중앙 유럽 국제 컵 | 0–2 | 이탈리아 | 0 |
37 | 1936년 5월 6일 | 빈 | 친선 경기 | 2–1 | 잉글랜드 | 0 |
38 | 1936년 5월 17일 | 로마 | 친선 경기 | 2–2 | 이탈리아 | 0 |
39 | 1936년 9월 27일 | 부다페스트 | 중앙 유럽 국제 컵 | 3–5 | 헝가리 | 2 |
40 | 1937년 3월 21일 | 빈 | 중앙 유럽 국제 컵 | 2–0 | 이탈리아 | 0 [24] |
41 | 1937년 5월 9일 | 빈 | 친선 경기 | 1–1 | 스코틀랜드 | 0 |
42 | 1937년 5월 23일 | 부다페스트 | 친선 경기 | 2–2 | 헝가리 | 0 |
43 | 1937년 9월 19일 | 빈 | 중앙 유럽 국제 컵 | 4–3 | 스위스 | 1 |
총계 | 26 |
4. 1. 1934년 FIFA 월드컵
1934년 FIFA 월드컵에서 진델라와 오스트리아 대표팀은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다. 특히 8강전에서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의 샤로시 죄르지를 상대한 경기는 거친 양상으로 진행되었는데, 이 경기에서 헝가리 선수 한 명이 퇴장당하고 오스트리아의 요한 호르바트가 부상당하여 4강전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8] 준결승에서 오스트리아는 개최국 이탈리아를 만났는데, 심판의 자국 편향 판정 등으로 인해 0-1로 패했다.[9] 진델라는 루이스 몬티에게 철저히 마크당하고 파울에 가까운 태클로 부상까지 입는 등, 이 경기에서 제대로 활약하지 못했다. 이어진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3위 결정전에도 부상으로 출전하지 못하여 2-3으로 패배, 4위로 대회를 마감했다.[8]4. 2. 1938년 독일과의 경기
1938년 4월 3일,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당시 프라터 슈타디온)에서 독일과 독립국 오스트리아의 마지막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는 몇 주 전 나치 독일이 오스트리아 병합을 완료하고 오스트리아 대표팀을 해산시킨 후 열린 경기였다. 오스트리아는 원래 1938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할 자격이 있었으나, 독일의 병합으로 인해 대표팀이 해산되었다.이 경기(Anschlussspiel|안슐루스슈필de)는 독일의 오스트리아 병합과 "오스트리아가 제국에 다시 돌아온 것"을 축하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진델라의 요청에 따라 오스트리아 대표팀은 원래의 하얀색과 검은색 유니폼이 아닌 국기 색깔과 같은 빨강-하양-빨강 유니폼을 입고 뛰었다. 많은 오스트리아인들은 이 경기가 너무 고의적이라고 생각해 경기장을 떠났다.
하지만, 경기 시작 20분 만에 진델라와 팀 동료 카를 제스타가 골을 넣어 오스트리아가 2-0으로 승리했다.[31] 진델라는 이로 인해 고위 나치 관리들에게 기념해야 할 잔치를 망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후 독일과 오스트리아 간 재경기가 열렸고, 독일이 오스트리아를 9-1로 크게 이겼다.
5. 죽음
1939년 1월 23일, 마티아스 진델라는 빈에 있는 자신의 아파트에서 여자친구인 카밀라 카스타뇰라와 함께 숨진 채 발견되었다. 공식적인 사인은 일산화탄소 중독이었다.[11] 그러나 그의 죽음을 둘러싸고 사고사, 자살, 타살 등 여러 추측이 제기되었다.[12]
진델라의 죽음이 단순 사고가 아니라는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몇 가지 정황들이 존재한다. 진델라의 친구 에곤 울브리히는 지역 공무원이 뇌물을 받고 그의 죽음을 사고사로 기록했다고 주장했다. 나치 치하에서는 살해당하거나 자살한 사람은 명예로운 장례를 치를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조작이 필요했다는 것이다.[13] 또한, 게슈타포가 진델라에 대한 파일을 보관하고 그의 카페를 감시했다는 사실은 그가 나치에 의해 살해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4]
5. 1. 죽음에 관한 일화
1939년 1월 23일, 진델라와 그의 여자친구 카밀라 카스타그노아는 빈에 있는 아파트에서 죽은 채로 발견되었는데, 공식적인 사인은 일산화탄소 중독이었다.[32]오스트리아의 작가 프리드리히 토르베르크는 후에 진델라에게 바치는 '한 축구 선수의 죽음에 관하여'(Auf den Tod eines Fußballers|한 축구 선수의 죽음에 관하여de)라는 시를 썼다. 이 시에서는 진델라가 1938년 오스트리아 병합 때문에 자살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그의 죽음은 사고였으며, 그 원인은 결함이 있었던 굴뚝이 원인으로 꼽혔다.[32] 그러나 2000년대 BBC에서 방송된 다큐멘터리에 따르면, 진델라의 오랜 친구였던 에곤 울버히는 지역 공무원이 뇌물을 받아 그의 죽음을 사고로 기록했으며, 이것은 진델라가 주 장례식으로 치루어졌다는 것에서 확실하다고 하였다. "나치 법에 따르면, 살해당한 사람이나 자살자는 무덤에 묻히는 영광을 얻을 수 없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의 죽음에 대한 범죄 요소가 지워진 것으로 확신했다."라고 진술했다.[33]
6. 플레이 스타일
der Papierenede(종이 인간)이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뛰어난 기술과 창의성을 가진 선수였다.[8] 179cm, 63kg의 호리호리한 체격으로 상대 수비수 사이를 빠져나가 골을 넣는 플레이 스타일을 보였다. 볼 컨트롤, 패스, 드리블 능력이 뛰어났으며, 특히 창의적인 플레이로 유명했다. 몇몇 비엔나의 팬들은 그의 경기 모습뿐만 아니라 어떻게 하면 축구를 더 잘 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 그의 경기를 보러 왔다고 한다.[9]
7. 수상 기록
FK 아우스트리아 빈 | ||
---|---|---|
대회 | 횟수 | 연도 |
1. 리가 | 1 | 1926 |
오스트리아 컵 | 5 | 1925, 1926, 1933, 1935, 1936 |
미트로파컵 | 2 | 1933, 1936 |
오스트리아 | ||
대회 | 횟수 | 연도 |
FIFA 월드컵 준결승 | 1 | 1934 |
중앙 유럽 국제컵 | 1 | 1931–32 |
개인 | ||
수상 | 횟수 | 연도 |
FIFA 월드컵 실버 볼 | 1 | 1934 |
중앙 유럽 국제컵 최우수 선수 | 2 | 1927–30, 1933–35 |
미트로파컵 득점왕 | 2 | 1932, 1933 |
IFFHS 20세기 오스트리아 선수 | 1 | 1999 |
오스트리아 축구 분데스리가 득점왕 | 3 | 1926–27, 1931–32, 1932–33 |
8. 유산
IFFHS에 의해 20세기 오스트리아 최고의 축구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세계 22위에 랭크되었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대회 | 내용 |
---|---|---|
소속팀 | 1. 리가 | 우승: 1926; 준우승: 1925, 1937 |
오스트리아 컵 | 우승: 1925, 1926, 1933, 1935, 1936 | |
미트로파컵 | 우승: 1933, 1936 | |
오스트리아 | FIFA 월드컵 | 준결승: 1934 |
중앙 유럽 국제컵 | 우승: 1931–32 | |
준우승: 1927–30, 1933–35 | ||
개인 | FIFA 월드컵 실버 볼 | 1934 |
중앙 유럽 국제컵 최우수 선수 | 1927–30, 1933–35 | |
미트로파컵 득점왕 | 1932, 1933 | |
IFFHS 20세기 오스트리아 선수 | 1999 | |
오스트리아 축구 분데스리가 득점왕 | 1926–27, 1931–32, 1932–33 | |
유럽 리그 득점왕 | 1932–33 |
참조
[1]
웹사이트
Austri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2]
뉴스
The Paper Man: life and death of a footballe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3]
웹사이트
IFFHS' Century Election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07-04-09
[4]
웹사이트
Sindelar: O craque que não se curvou ao Nazismo
http://www.trivela.c[...]
Trivela.com
2007-04-11
[5]
웹사이트
Austria's greatest
http://www.thefa.com[...]
2010-12-27
[6]
뉴스
Sindelar: the ballad of the tragic hero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6-14
[7]
서적
Tor!: The Story of German Football
WSC Books
[8]
웹사이트
Austri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Austrian Football Association
[9]
서적
The Ball is Round: A Global History of Soccer
Penguin
[10]
웹사이트
Der Papierene
https://archive.toda[...]
[11]
뉴스
The 'Paper Man' mystery
http://soccernet.esp[...]
ESPNFC
2023-03-26
[12]
뉴스
Football: Jonathan Wilson on the mysterious death of Matthias Sindelar, probably Austria's greatest-ever playe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0-04-24
[13]
뉴스
Football, fascism and England's Nazi salute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4-09
[14]
뉴스
World Cup: 25 stunning moments … No11: Austria's Wunderteam go clos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4-27
[15]
웹사이트
Fussball in Österreich SpielerstatstikSindelar Matthias
http://www.austriaso[...]
[16]
웹사이트
Mitropa Cup – Historical Lineups
https://www.historic[...]
2015-11-03
[17]
웹사이트
Matthias Sindelar – International Goals
https://www.rsssf.or[...]
[18]
웹사이트
Statistics of matches of the Austria national team (September 1923 – April 1934)
http://www.oefb.at/_[...]
oefb.at
2007-04-12
[19]
웹사이트
Statistics of matches of the Austria national team (April 1934 – May 1952)
http://www.oefb.at/_[...]
oefb.at
2007-04-12
[20]
웹사이트
Statistik Österreichischer länderspiele
http://www.austriaso[...]
austriasoccer.at
2007-04-12
[21]
문서
Entered game as substitute (42')
[22]
문서
Austria played two matches on 6- 5-1928, vs. Hungary and vs. Yugoslavia: both matches are considered official for Austria but Yugoslavia did not recognise its match vs. Austria as official.
[23]
문서
Scored the first 3 of Austria's goals; second international hat-trick in eight months.
[24]
웹사이트
Match suspended at the 73rd minute. Not considered official by the Italian Football Federation.
https://www.rsssf.or[...]
[25]
문서
The celebratory match played between Austria (as Ostmark) and Germany (as Altreich) in the Praterstadion after the Anschluss is not an official match for either team.
[26]
웹인용
IFFHS' Century Elections
http://www.rsssf.com[...]
RSSSF
2007-04-09
[27]
웹인용
Austria's greatest
http://www.thefa.com[...]
2010-12-27
[28]
서적
http://books.google.[...]
[29]
서적
http://books.google.[...]
[30]
웹사이트
Austri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www.rsssf.com[...]
오스트리아 축구 협회
[31]
웹인용
Der Papierene
http://www.wienerzei[...]
2013-11-23
[32]
웹인용
The 'Paper Man' mystery
http://soccernet.esp[...]
ESPN
2007-04-09
[33]
뉴스인용
Football, fascism and England's Nazi salute
http://news.bbc.co.u[...]
BBC
2007-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